Skip to content

활동

만보계

초급 | MakeCode, Python | LED, 가속도 센서 | 곱셈, 변수, 성능 평가 도구, 센서, 인체, 측정

1단계: 만들어 보세요.

프로젝트 소개

micro:bit 를 이용해서 만보계(보수계)를 만들고, 자신이 얼마나 많이 움직이고 있는지 살펴보세요. - 동시에 프로그래밍도 배울 수 있습니다!

다음 동영상을 통해 만들고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살펴보세요.:

소개

프로그래밍 가이드

설명

  • 이전의 주사위 만들기 프로젝트와 같이, 이 프로그램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합니다. micro:bit 를 흔들었을 때, 원하는 작업을 실행시켜 보세요.
  • micro:bit 가 흔들린 횟수를 카운트 합니다. 흔들린 횟수를 변수에 저장합니다. ‘steps’ 변수에 흔들린 횟수가 저장됩니다.
  • 어떤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다시 사용하기 위해, 컴퓨터에서는 변수들을 사용합니다. 걸음 횟수와 같은 정보를 저장해 둘 수도 있습니다.
  • 프로그램에서는 micro:bit 의 가속도 센서가 흔들림을 감지할 때마다, 걸음 횟수를 저장하는 변수에 기록되어있는 값을 1 만큼 증가시키고, 그렇게 변경된 값을 LED 화면으로 출력합니다.

준비물

  • micro:bit (또는 MakeCode 시뮬레이터)
  • MakeCode 또는 Python 편집기
  • AAA 배터리 팩 (옵션)
  • 신발이나 다리에 micro:bit 를 붙이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물건 - 실, 테이프, 벨크로 등.

2단계: 프로그래밍 해보세요.

3단계: 더 좋게 만들어 보세요.

  • 버튼을 눌렀을 때, 걸음 횟수를 0으로 초기화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세요.
  • 걸음 횟수를 숫자가 아닌 다른 그림으로 바꿔 출력해 보세요.
  • 평균적인 걸음 횟수를 측정한 후, 그 걸음 횟수를 사용해서 이동한 거리를 micro:bit 를 사용해 계산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세요.
어떤 여학생의 신발에 붙여져 있는 micro:bit 를 손으로 가리키고 있는 다른 여학생